반응형
1. 미국, 중국에 104% 관세 부과 시작
오늘부터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대로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를 본격 시행했습니다. 기존 관세에 더해 50%가 추가되며, 총 관세율은 무려 104%에 달합니다. 이는 트럼프가 4월 8일까지 중국이 34%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 강경 대응하겠다고 경고한 데 따른 조치인데요, 중국은 이를 철회하지 않았고, 결국 양국 간 무역 전쟁이 한층 격화되었습니다.
- 시장 반응: 뉴욕 증시에서는 S&P 500이 장중 19% 하락하며 베어마켓(20% 이상 하락) 진입 직전까지 갔고, 다우존스 지수는 350포인트(0.9%) 하락하며 마감했습니다. 나스닥은 테슬라와 애플 주가가 각각 4.9%, 5% 급락했지만, 기술주 일부 회복으로 0.1% 상승하며 간신히 버텼습니다.
2. 글로벌 시장, 연쇄 하락세
미국과 중국의 관세 충돌은 아시아와 유럽 시장에도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
- 아시아: 일본 니케이 225 지수는 7.9% 하락하며 30,792.74로 마감했고, 홍콩 항셍 지수는 13.22% 폭락하며 1997년 이후 최악의 하루를 기록했습니다. 상하이 종합 지수는 7.34%, 선전 종합 지수는 9.66% 하락하며 중국 시장도 큰 충격을 받았어요.
- 유럽: 영국 FTSE 100은 4.38% 하락해 7,702.08로 마감했고, 독일 DAX는 4.13%, 이탈리아 주요 지수는 5.18% 급락하며 유럽 전역이 공포에 휩싸였습니다.
- 왜 이런가?: 투자자들은 관세 전쟁이 글로벌 경기 침체를 유발할 가능성을 우려하며 안전자산으로 몰리고 있어요. VIX(공포 지수)는 46.98까지 치솟아 2020년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3. 유가, 4년 만에 최저치로
무역 전쟁 여파로 원유 수요 감소 우려가 커지며 유가도 급락했습니다. 브렌트유는 2% 하락해 배럴당 64.34달러, 미국 WTI는 2% 떨어져 60.78달러를 기록하며 2021년 4월 이후 최저 수준으로 내려앉았습니다. ING는 2025년 브렌트유 평균 가격 전망을 74달러에서 72달러로 하향 조정했고, JP모건은 관세가 경제를 침체로 몰아넣을 가능성을 경고하며 투자자들의 불안을 키웠습니다.
4. 한국 시장: WGBI 편입 확정 소식 속 혼조세
국내 증권가에서는 긍정적인 소식도 있었습니다. FTSE Russell이 한국 국채를 세계국채지수(WGBI)에 편입하기로 확정했는데요, 시행은 2026년 4월부터입니다. 이는 외국인 자금 유입을 기대할 수 있는 호재로 평가되지만, 글로벌 시장의 불안 속에 코스피는 5.6% 하락하며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전문가들은 단기적으로 관세 이슈가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어요.
5. 전문가 의견과 전망
- 골드만삭스: 2025년 GDP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하고, 경기 침체 가능성을 높게 점쳤습니다.
- 빌 애크먼: 트럼프의 관세 정책 실행을 일시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시장 안정화를 촉구했어요.
- 켄 피셔: “관세 공포가 과도하다”며 장기적으로 시장이 회복할 가능성을 낙관했습니다.
하지만 연준 인사들은 강력한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다시 부추길 수 있다고 경고하며,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어 시장의 불확실성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반응형
'주식 시장 이슈의 모든 것 > 글로벌 증권가 뉴스(Global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4월 12일 글로벌 증권가 뉴스(Global News) (0) | 2025.04.13 |
---|---|
2025년 4월 11일 글로벌 증권가 뉴스(Global News) (0) | 2025.04.11 |
2025년 4월 10일 글로벌 증권가 뉴스(Global News) (0) | 2025.04.10 |
2025년 4월 8일 글로벌 증권가 뉴스(Global News) (0) | 2025.04.08 |
2025년 4월 6일 글로벌 증권가 뉴스(Global News) (0) | 2025.04.06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