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관세 정책 테마 미국 주식 10종목 총 정리
미국 관세 정책 테마 정보
오늘은 2025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시행으로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 미국 상장 기업 10곳을 소개하며, 각 기업의 주요 사업과 관세 정책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4월 기준,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10% 추가 관세), 멕시코·캐나다(25% 관세), 자동차 및 철강·알루미늄(25% 관세) 등에 대한 관세를 시행하며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고 있어요. 이는 미국 내 제조업과 특정 산업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가능성이 높죠. 그럼, 어떤 기업들이 주목받는지 살펴볼까요?
1. 캐터필러 (Caterpillar, CAT)
- 기업 설명: 캐터필러는 건설 및 광산 장비, 디젤 및 천연가스 엔진, 산업용 가스터빈을 제조하는 글로벌 리더로, 미국 내 생산 시설을 통해 전 세계에 제품을 공급해요.
- 관세 정책 수혜 이유: 관세로 인해 외국산 장비의 가격이 상승하면, 미국 내 생산 기반이 강한 캐터필러가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어요. 또한, 관세 정책이 미국 내 인프라 투자와 제조업 부흥을 촉진하면 장비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죠.
2. 스틸 다이내믹스 (Steel Dynamics, STLD)
- 기업 설명: 스틸 다이내믹스는 미국 내 주요 철강 생산업체로, 건설, 자동차, 가전 제품에 사용되는 철강 제품을 제조하며, 지속 가능한 생산 방식으로도 주목받아요.
- 관세 정책 수혜 이유: 2025년 3월 시행된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25% 관세로 인해 수입 철강의 가격이 상승하며, 미국 내 철강 생산업체인 스틸 다이내믹스가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어요. UBS는 최근 이 종목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하며 관세 수혜를 언급했죠.
3. 제너럴 모터스 (General Motors, GM)
- 기업 설명: GM은 디트로이트에 본사를 둔 자동차 제조사로, 쉐보레, 캐딜락, GMC 브랜드를 통해 미국 내 대규모 생산 라인을 운영하며 전기차 전환에도 주력하고 있어요.
- 관세 정책 수혜 이유: 2025년 4월 2일부터 시행된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 관세로 수입차 가격이 상승하며,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GM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어요. J.P. Morgan은 GM이 관세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며 시장 점유율 손실을 최소화할 것으로 전망했어요.

4. 록히드 마틴 (Lockheed Martin, LMT)
- 기업 설명: 록히드 마틴은 방산 제조업체로, 항공기, 미사일, 우주 기술 등을 생산하며 미국 정부와의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을 올리고 있어요.
- 관세 정책 수혜 이유: 관세 정책이 국가 안보와 미국 제조업 보호를 강조하며 방산 산업에 대한 투자를 촉진할 가능성이 높아요. iShares U.S. Aerospace & Defense ETF(ITA)에 포함된 록히드 마틴은 관세로 인한 방산 수요 증가로 주목받고 있죠.
5. 유니온 퍼시픽 (Union Pacific, UNP)
- 기업 설명: 유니온 퍼시픽은 미국 최대 철도 운송 기업으로, 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미국 내 물류 네트워크를 운영해요.
- 관세 정책 수혜 이유: 관세로 인해 미국 내 제조업이 활성화되면 물류 수요가 증가하고, 유니온 퍼시픽은 이를 통해 운송 매출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어요. Deutsche Bank는 이 종목을 매수로 평가하며 관세로 인한 물류 수요 증가를 긍정적으로 봤어요.
6. 프로로지스 (Prologis, PLD)
- 기업 설명: 프로로지스는 산업용 부동산 리츠(REIT)로, 창고와 데이터센터를 포함한 물류 부동산을 소유·운영하며 AI 붐으로 데이터센터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요.
- 관세 정책 수혜 이유: 관세로 인해 미국 내 제조업이 부흥하면 물류 및 창고 수요가 증가하고, 프로로지스는 이를 통해 임대 수익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요. Morgan Stanley는 관세로 인한 리쇼어링(reshoring)이 프로로지스에 긍정적이라고 언급했죠.
7. 에너지 셀렉트 섹터 SPDR ETF (Energy Select Sector SPDR ETF, XLE)
- 기업 설명: XLE는 미국 에너지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엑슨모빌, 셰브론 등 주요 에너지 기업을 포함하며 석유 및 가스 생산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 관세 정책 수혜 이유: 관세로 인해 멕시코와 캐나다의 에너지 수입 비용이 상승하며, 미국 내 에너지 생산 기업이 수혜를 볼 가능성이 있어요. YCharts는 XLE를 관세 수혜 ETF로 추천하며 미국 에너지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언급했어요.
8. 3M (3M, MMM)
- 기업 설명: 3M은 산업, 헬스케어, 소비재 분야에서 다양한 제품을 제조하는 다국적 기업으로, 미국 내 생산 시설을 통해 접착제, 연마재, 의료 제품 등을 공급해요.
- 관세 정책 수혜 이유: 관세로 인해 수입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3M이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어요. BlackRock은 관세로 인한 제조업 부흥이 3M과 같은 산업 기업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했죠.

9. 인더스트리얼 셀렉트 섹터 SPDR ETF (Industrial Select Sector SPDR ETF, XLI)
- 기업 설명: XLI는 미국 제조업 및 산업 기업에 투자하는 ETF로, 제너럴 일렉트릭, 허니웰 등 주요 산업 기업을 포함하며 제조업 전반에 걸친 성장을 추적해요.
- 관세 정책 수혜 이유: 관세로 인해 미국 내 제조업이 활성화되면 XLI에 포함된 기업들이 수혜를 볼 가능성이 높아요. YCharts는 XLI를 관세로 인한 국내 제조업 성장의 수혜 ETF로 추천했어요.
10. 듀폰 (DuPont de Nemours, DD)
- 기업 설명: 듀폰은 화학 및 소재 제조 기업으로, 전자, 자동차, 건설 산업에 사용되는 고성능 소재를 생산하며 미국 내 생산 시설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 공급해요.
- 관세 정책 수혜 이유: 관세로 인해 수입 소재의 가격이 상승하면, 미국 내 생산 기반이 강한 듀폰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수 있어요. J.P. Morgan은 관세로 인한 리쇼어링이 듀폰과 같은 소재 제조 기업에 긍정적이라고 전망했죠.
*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 되었고 추천이나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닙니다.
* 테마주는 변동성이 심하고 관련성이 있어도 주가 변동이 없는 것들이 있습니다. 테마주를 보시더라도 회사의 재무재표, 성장성, 부채비율 등 객관적인 지표로 회사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주식 시장 이슈의 모든 것 > 미국 주식 테마주 정리 및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력설비 테마 미국 주식 10종목 총 정리 (1) | 2025.04.10 |
---|---|
미국 제조업 테마 미국 주식 10종목 총 정리 (0) | 2025.04.09 |
AI인프라 테마 미국 주식 10종목 총 정리 (0) | 2025.04.08 |
우주 위성 테마 미국 주식 10종목 총 정리 (0) | 2025.03.31 |
일드맥스 커버드콜 미국 주식 10종목 총 정리 (0) | 2025.03.28 |
최근댓글